목록개발 (5)
Kwoo'S Blog - IT는 어렵다.

Docker에서 볼륨을 사용했듯이 k8s에서 PV,PVC를 통해 볼륨을 연결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볼륨 프로비저닝 종류는 다음과 같이 2가지가 있다. 정적 프로비저닝 단어 그대로 미리 사용 가능한 용량을 산정하고 만들어둔 PV를 할당하는 방법이다. 정적 PV로 만들어둔 용량을 넘어서서 사용하는 요청은 실패한다. 동적 프로비저닝 동적 프로비저닝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정적 프로비저닝과 달리 사용자는 PVC를 먼저 만들고 PV가 자동 생성된다. 이때 스토리지클래스를 사용하게 되며, 프로비저너로 사용될 매체(NFS,Local,AWS 등)가 필요하다. 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스토리지클래스 생성 -> PVC 생성 -> PV 생성 -> 바인딩 -> 사용 -> Reclaim 전략에 따른 후처리 대개 AWS를 사용하면..

2020년 2월 16일에 본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후기입니다. 일단 후기부터 말하자면 필기라서 그런지 개인적으로 상당히 쉬웠던 필기시험중 하나였던것 같습니다. 총 공부시간은 2일 정도고 시험장가서 10분~15분? 정도 다 풀고 검토 안하고 모르는건 맞는거 같은거 찍고 나왔습니다. 결과는 아래처럼 80점으로 합격했습니다. 천천히 풀고 하나하나 집중해서 풀었으면 90점은 그냥 넘어갔을듯 합니다. 1. 시험 유형 아시는분들은 아실테지만 거의 문제은행 방식이예요. 실제로 시험장가니까 제가 푼 기출은 실제로 몇년 안되지만 다 겹쳐서 나오더라구요. 모르는 문제도 아예 모르는 문제가 아니라 다른 기출을 풀다보니 눈에 익고 알게 된 용어로 대충 유추 가능한 정도? 결국 기출 많이 푸시고 용어정리 한번씩 해..
(본 글은 네이버 포스팅 중 2020년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후기를 가져온 것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2달반정도 밀린 시험을 오늘 1,2회차 통합 기사필기 시험을 보고 왔습니다. 원래는 3월22일에 시험보는건데.. 다들 정보처리기사 개정되신건 아시죠!? 저는 이번년도 개정된다는 소식을 듣고 2월초부터 1회차를 염두에 두고 공부했기 때문에 밀린거까지 포함하면 실 공부량은 3개월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저는 시나공 책을 1월쯤에 구입해서 공부했으며 거의 3개월동안 책을 5번~6번은 본거 같네요;; 책은 시나공 책을 샀지만 그 외에도 수제비 책도 있고 기사퍼스트 사이트에서 하는 교재도 있더군요. 아 참고로 저는 이번에 졸업한 전공자입니다!! 개정된다고 하니 기존 기출문제 뺑뺑이도 안통할거 같고 밀려서 시간..

(본 글은 네이버 포스팅 중 2020년 SQLD 자격증 후기를 가져온 것입니다.) 2020년도 5/31 첫 SQLD 시험을 보고 한달 뒤 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보처리기사나 네트워크관리사 같이 코로나 여파로 인해 계속 미뤄지다가 치러졌던 시험인 만큼 시원섭섭하네요~ 시험 후기 결과 발표가 2시인데 홈페이지가 1시부터 먹통되더니 30분 만에 겨우 조회했네요 ㅋㅋㅋ 3시까지 못 보신 분들도 되게 많으셨습니다. SQLD SQLP 를 준비하면서 알게 된 카페입니다. 여기서 다른 분들과 소통하고 지난 기출복원을 보고 연습할 수 있었습니다. https://cafe.naver.com/sqlpd 데이터베이스(DB) 전문가 포럼 : 네이버 카페 DAP, DAsP, DBA, SQLP, SQLD, ADsP, A..